top of page
검색

작가와 행사





사람들 앞에서 말을 많이 하고 집에 돌아온 날이면 내가 잘못 살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어떤 자리에서든 일방적으로 말하는 위치에 있으면 불안했다. 질문하거나 듣는 시간이 말하는 시간과 비슷해야 좋은 만남일 확률이 높았다. 발언의 지분이 서로에게 골고루 나뉜 대화에만 머물고 싶었다. 하지만 올겨울에 나는 아주 많은 말을 하며 지냈다. 책을 팔기 시작한 지난해 11월부터 1월까지 세 달간 열다섯 번의 인터뷰와 세 번의 라디오 출연과 열여섯 번의 북 토크 행사를 치렀다. 하루가 멀다 하고 말하는 자리에 가기 위해 집을 나설 때마다 같은 말을 읊조렸다. “내가 뭐라고….”


그러다 막상 인터뷰 장소나 라디오 녹음실이나 행사장의 토크 무대에 도착하면 그렇게 자조할 새가 없었다. 분명한 청자들이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추운 날에 다른 걸 할 수 있는 시간을 아껴서 내 앞에 온 사람들이었다. 그런 얼굴을 마주하면 성심 성의껏 내 소개를 하고 책 얘기를 하게 되었다. 자리를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서는 어김없이 불안해졌다. 오늘도 혼자 떠들었구나! 저마다 유구한 역사를 가진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내 얘길 들었을까. 말실수하는 나를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았을까.


역시 잘못 살고 있는 것 같아서 사주를 보러 갔다. 새해맞이 의식이기도 했다.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각을 말한 뒤,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를 들고 말하는 순간이 많아 걱정이 된다고 토로했다. 명리학자 선생님은 대답했다.

“무대에 설수록 좋은 팔자예요. 큰 무대일수록 좋습니다.”

나는 복잡한 기분으로 되물었다.

“정말요?”

선생님은 고개를 끄덕이며 덧붙였다.

“출판계나 교육계에 종사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대충 그러고 있기는 한데… 계속 여기에 종사해야 할까요?”

“네. 그리고 매일 일기를 쓰세요.”

“일기요?”

“일기를 매일 쓸 경우 부적이 따로 필요 없는 팔자입니다.”

그런 팔자라니….


여러 기쁨과 스트레스와 질병을 가져다준 일간 연재를 생각하며 연초의 거리를 걸었다. 하던 걸 계속하면 되는 것인가.  『일간 이슬아』 가 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무대에 서면 좋다는 예언도 들었으니 이왕 하는 것이니 모든 행사에 최대한 잘 임해보기로 했다. 행사에 잘 임한다는 건 무엇인가.


첫 번째로는 좋은 에너지를 품고 그 장소에 가는 것이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일하고 읽고 쓰는 생활을 유지해야 그럴 수 있었다. 행사 전날 밤에는 심사숙고하여 옷을 골라놓았다. 옷으로 용기를 내는 부류이기 때문이다. 내 몸을 편안하게 감싸는 옷일수록 용기가 났다. 하루는 내 몸이 너무 왜소하고 초라해 보여서 어깨에 ‘뽕’이 들어간 가죽 재킷을 입고 북 토크에 갔다. 지나치게 자신만만해 보이는 외투였다. 진짜 동물 가죽은 아니고 인조 가죽이라고 사람들에게 강조했다.


두 번째로는 같은 얘기를 반복하지 않는 게 중요했다. 같은 이야기를 자리만 바꿔서 몇 번이고 반복하는 내 모습은 상상만 해도 아주 가증스러웠다. 북 토크 때마다 다른 주제로 이야기를 준비하고 자료를 만들어 가자 나의 편집자님은 조금 염려하셨다. “매번 새롭게 준비하려면 피곤하실 텐데요!” 그래도 피곤한 게 부끄러운 것보다 나았다.


두 시간 가까이 진행되는 행사를 낭독과 이야기로만 채우는 게 빈약하게 느껴져서 세 번째로 준비한 것은 6만 원짜리 중고 기타와 미니 앰프였다. 말이 지겨워질 즈음에 노래를 하기 위해서였다. 쉬운 코드만 쳐가며 내가 좋아하는 노래들을 불렀다. 내 글보다 좋은 가사가 세상엔 수두룩했고, 그 노랫말에 기대어 내 마음을 효과적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사실 책에 관해서라면 덧붙이고 싶은 말이 딱히 없었다. 내 글과 그림이 지겨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좋아하는 노래는 여러 번 불러도 지겹지 않았다. 어느새 나의 북 토크 행사는 약간 디너쇼처럼 변해 있었다. 무대에서의 실수와 민망함을 추스를 새도 없이 책에 사인을 하다 보면 독자들은 어느새 멀어져 갔다. 고맙고도 두려운 사람들! 여전히 그들에 대해 알게 된 것 없이 열심히 나를 보여주기만 하다가 행사의 밤이 저물곤 했다. 역시 불안한 일이었다. 나는 또 같은 말을 읊조리며 집에 돌아갔다. “내가 뭐라고, 내가 뭐라고….”


월간 <채널예스> 2019년 2월호


글 : 이슬아

일러스트 : 손은경



조회수 207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어느 날 나는 ‘그날 입은 옷’이라는 글감을 칠판에 적었다. 내가 혹은 누군가가 어느 날 입고 있던 옷을 기억하며 글을 써보자는 제안이었다. 이따금씩 우리는 무엇을 입었는지 결코 잊을 수 없는 날을 겪는다. 그 하루는 왜 선명하게 남는가. 누구와 무엇을 경험했기에 그날의 옷차림까지 외우고 있는가. 이 주제로 모은 수십 편의 글 중에서 너무 서투른 옷차림이라

하루는 글쓰기 수업에서 과제를 걷은 뒤 제목 옆에 적힌 아이들의 이름을 가려보았다. 그리고 과제를 마구 섞어버렸다. 그러자 글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기 어려워졌다. 이름 없는 여러 편의 글들을 칠판에 붙이고 아이들에게 제안했다. 각각 누가 쓴 것인지 맞혀보자고. 이름이 적혀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단번에 글의 주인을 찾아냈다. 같은 종이에 동일한 폰

미국 작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장편소설 <올리브 키터리지>의 한국판 띠지에는 김애란 작가의 짧은 추천사가 이렇게 적혀 있다. “울지 않고 울음에 대해 말하는 법.” 이 한 문장 때문에 펼쳐보지도 않고 책을 샀다. 나 역시 울지 않고 슬픔에 대해 잘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올리브 키터리지>를 펼쳐들자 갑작스러운 사고로 남편을 잃은 데니즈라는 인물이 등장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