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경향신문 서평] 작은 것들의 신 - 아룬다티 로이

최종 수정일: 2019년 3월 13일





감각으로 남는 소설


이 소설을 완독할 때마다 낮잠을 잤다. 나를 뒤흔드는 사랑이 밤새 머물다 떠난 아침처럼 소진된 채로 잠이 들었다. 꿈의 배경은 아예메넴이었다. 인도의 덥고 음울한 마을. 농익은 과일과 풀벌레의 마을. 이 소설이 펼쳐지는 마을. 자신들을 합쳐서 ‘나’라고 생각하는 이란성 쌍둥이와, 가늘고 강인한 곱슬머리를 허리까지 기른 여자와, 팔이 하나뿐인 ‘작은 것들의 신’이 살던 마을. 책 속의 그 마을이 꿈에서도 나왔다. 축축하고 매혹적이고 아주 많이 안타까운 꿈이었다.

깨어날 즈음에도 소설을 생각했다. 쌍둥이가 내 옆에 있었다면, 서로가 무슨 꿈을 꾸었는지도 읽어낼 수 있는 어린 그들이라면 분명 날 깨우기보다는 조심스레 잠을 방해하는 편을 택할 것이다. 꿈꾸는 사람을 갑자기 깨우면 심장마비에 걸릴지도 모른다고 믿으므로. 서랍을 열고 목청을 가다듬고 괜히 신발도 정돈하며 내가 꿈의 표면 아래에서 쉬다 나올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쌍둥이 중 하나가 오후 악몽을 꾸었느냐고 물으면 아니라고 대답하고 싶다.

텍스트로도 남지만 꼭 잊지 못할 꿈을 꾼 듯한 감각으로도 남는 소설이다. 몸에 관한 문장이 아주 많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종이 위에 적힌 육체의 질감과 냄새와 모양과 탄성이 꼭 내 것인 것처럼 읽힌다. 작고 사소한 부위에 깃든 신을 떠올리게끔 한다. 그럼 내 몸도 남의 몸도 서글프도록 귀하게 여겨진다. 이런 소설을 읽고 나면 무언가를 그리고 누군가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게 된다. 아룬다티 로이가 세상을 보는 시선을 닮아가고 싶어서 서재의 가장 잘 보이는 책꽂이에는 언제나 이 소설을 꽂아둔다. (2018.12.26)


글 : 이슬아

'일간 이슬아' 발행인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2262141015&code=960205#csidx3cd32fbebdb8546b63d9451113ba49d

조회수 20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어느 날 나는 ‘그날 입은 옷’이라는 글감을 칠판에 적었다. 내가 혹은 누군가가 어느 날 입고 있던 옷을 기억하며 글을 써보자는 제안이었다. 이따금씩 우리는 무엇을 입었는지 결코 잊을 수 없는 날을 겪는다. 그 하루는 왜 선명하게 남는가. 누구와 무엇을 경험했기에 그날의 옷차림까지 외우고 있는가. 이 주제로 모은 수십 편의 글 중에서 너무 서투른 옷차림이라

하루는 글쓰기 수업에서 과제를 걷은 뒤 제목 옆에 적힌 아이들의 이름을 가려보았다. 그리고 과제를 마구 섞어버렸다. 그러자 글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기 어려워졌다. 이름 없는 여러 편의 글들을 칠판에 붙이고 아이들에게 제안했다. 각각 누가 쓴 것인지 맞혀보자고. 이름이 적혀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단번에 글의 주인을 찾아냈다. 같은 종이에 동일한 폰

미국 작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장편소설 <올리브 키터리지>의 한국판 띠지에는 김애란 작가의 짧은 추천사가 이렇게 적혀 있다. “울지 않고 울음에 대해 말하는 법.” 이 한 문장 때문에 펼쳐보지도 않고 책을 샀다. 나 역시 울지 않고 슬픔에 대해 잘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올리브 키터리지>를 펼쳐들자 갑작스러운 사고로 남편을 잃은 데니즈라는 인물이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