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경향신문 서평] 백 년의 고독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





이토록 강렬한 집의 서사


내가 쓰는 가족 이야기의 장르를 굳이 분류하자면 시트콤에 가깝다. 같은 공간에 같은 사람들이 출연한다. 비범하고도 평범한 그들이 날마다 달라지는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며 살아가는지 보여주는 시추에이션 코미디다. 자주 웃기고 가끔 찡하다. 하지만 집이라는 공간에는 시트콤적으로 이야기화할 수 없는 순간도 많다. 어느 가족에게나 크고 작은 그림자가 있다. 대가족 안에서 자란 나는 몇 대를 아우르는 불행과 고독 또한 보았다. 그런 건 이야기로 만들 엄두가 안 나서 아직 쓰지 못했다. 기구한 일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모르는 것이다.

<백년의 고독>을 읽을 때마다 가슴이 울렁거린다. 무지막지하게 기구하고 강렬하고 야하고 딱해서다. 별사람들이 다 나오고 별일이 다 생긴다. 모두 마콘도라는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마을은 주민들이 대를 이으며, 그리고 근대화를 거치며 도시로 팽창해가는데, 이야기가 미친 듯이 휘몰아치다가 마지막 페이지에 이르러서는 결국 고독하다. 그야말로 백년 동안이나 고독하다. 대대손손 이어지는 이 기구한 고독에는 기시감이 든다. 가족과 이웃과 자손들이 자꾸만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기 때문이다.

<백년의 고독>의 원래 제목은 <집>이었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커다란 집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그 집에는 흙을 먹는 여동생과 예지 능력이 있는 할머니, 그리고 절대로 행복과 광기를 구분 짓지 않던 똑같은 이름의 수많은 친척들이 있었다고 한다. 생전 처음 얼음이라는 걸 손으로 만져보고는 펄펄 끓고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던 아이도 그곳에 있었을 터이다. 인물과 시간을 다루는 그의 솜씨에 매번 놀라며 나는 이 책을 몇 번이고 다시 읽는다. (2018.12.25)


글 : 이슬아

'일간 이슬아' 발행인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2252220005&code=960205#csidx7c419dc1f5fc8099bb5b20104ad9c96

조회수 11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어느 날 나는 ‘그날 입은 옷’이라는 글감을 칠판에 적었다. 내가 혹은 누군가가 어느 날 입고 있던 옷을 기억하며 글을 써보자는 제안이었다. 이따금씩 우리는 무엇을 입었는지 결코 잊을 수 없는 날을 겪는다. 그 하루는 왜 선명하게 남는가. 누구와 무엇을 경험했기에 그날의 옷차림까지 외우고 있는가. 이 주제로 모은 수십 편의 글 중에서 너무 서투른 옷차림이라

하루는 글쓰기 수업에서 과제를 걷은 뒤 제목 옆에 적힌 아이들의 이름을 가려보았다. 그리고 과제를 마구 섞어버렸다. 그러자 글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기 어려워졌다. 이름 없는 여러 편의 글들을 칠판에 붙이고 아이들에게 제안했다. 각각 누가 쓴 것인지 맞혀보자고. 이름이 적혀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단번에 글의 주인을 찾아냈다. 같은 종이에 동일한 폰

미국 작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장편소설 <올리브 키터리지>의 한국판 띠지에는 김애란 작가의 짧은 추천사가 이렇게 적혀 있다. “울지 않고 울음에 대해 말하는 법.” 이 한 문장 때문에 펼쳐보지도 않고 책을 샀다. 나 역시 울지 않고 슬픔에 대해 잘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올리브 키터리지>를 펼쳐들자 갑작스러운 사고로 남편을 잃은 데니즈라는 인물이 등장

bottom of page